가장 아름다운 글: 비정규직 르포집 <부서진미래> 순천샘의 서문
그분들의 목소리가 세상과 불화하기를 바란다
1년여 과정을 통해 우리는 지금 현재 살고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목소리를 들었다.
가슴이 얼음으로 된 작살로 깊이 꽂인 것처럼 서늘한 아픔으로 다가왔다.
주류 삶과는 너무 다른 맨 밑 바닥 저층에 사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분들 한 사람 한 사람의 목소리는 다양한 형태를 띠지만
온 힘을 다해서 낸 '외침 혹은 절규' 같은 것이었다.
나는 오랜 시간 서문 쓰기를 망설였다.
이 세상이 그분들의 목소리를 받을 자격이 있는가.
그분들의 마음속에 있는 '절규와 지혜'를 헤아릴 최소한의 겸손이 이 세상에는 있는가.
나는 지독히 회의한다.
이런 세상에 그분들의 목소리를 내보낸다는 것은 위험스런 일임을 잘 알고 있다.
거대 자본이 대다수 국민들의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 되면서도 절대적으로 숭배되는 나라,
'돈만이 미래'가 될 수밖에 없는 곳에서 세상은 좋아졌다고 외치는 거짓 선지자들이 많은 시대,
또 그것을 믿고 사는 일부 시민들의 허위의식 속에서 고통을 당하고 있는 그분들의 목소리는 한낱 넋두리로 버려지거나 냉소, 경멸당할 수 있었다.
그 못소리들은 지켜지고 보호되어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그분들의 목소리가 이 세싱과 많이 불화하길 바란다.
몸으로 인생을 통화해오면서 얻은 육화된 그분들의 언어와 삶이
실종된 세상의 가벼움과 최대한 많이 충돌하기를 원한다.
그분들의 목소리를 불편해 하지 않는 것,
그리고 그분들의 언어를 쉽게 읽지 않는 것,
그것이 세상이 그분들에게 보내는 최소한의 예의이다.
이 말은 그분들의 고통이 이미지 속 이라크전쟁처럼
게임으로 즐겨지기를 바라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퓨전 음식처럼 여러 음식 중에 하나로 선택해서 즐기는 그런 것들이 아니기를 바란다.
값비싸고 좋은 음식만을 먹다가 어느 날 먹는 된장찌게가 아니기를 바란다.
가볍게 살고 있는 자신의 허무한 마음을 합리화시켜주는 도구로 사용되지 않기를 바란다.
생의 하중을 견뎌오면서 만들어진 그분들의 얼음작살같은 목소리가 될 수 있으면
마음에 오래 오래 박혀서 많이 아파주기를 바란다.
그래서 영혼이 없는 이 세상에서 자신이 외롭지 않기를,
존재와 이미지로 분열된 현대적인 자아,
그대 당신이 그분들의 생생한 언어로 '허위의 삶'을 깨고 치유되었으면 한다.
'부서진 미래' 서문 中